살면서 예상치 못한 경제적 어려움을 겪게 되거나 갑작스러운 위기 상황이 찾아올 때가 있죠. 다행히 2025년 현재, 우리나라는 다양한 복지제도를 통해 국민들의 안정적인 생활을 지원하고 있어요. 혹시 생활비 마련이 어려워 고민하고 계신가요? 놀랍게도 제대로 알고 신청하면 매월 상당한 금액을 지원받을 수 있답니다! 지금 바로 나에게 맞는 복지제도는 무엇인지,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알아볼게요!

💰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로 기본 생활비 확보하기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는 생활이 어려운 사람들에게 기본적인 생활을 보장하고 자립을 돕기 위한 제도예요. 2025년에는 여러 변화가 있었는데, 특히 지원금액이 크게 인상되었답니다!
2025년 기준 중위소득 및 급여 기준
지원 금액의 기준이 되는 중위소득이 2025년에는 전년 대비 6.42% 인상되었어요.
가구원 수 | 기준 중위소득 | 생계급여 기준(32%) | 의료급여 기준(40%) | 주거급여 기준(48%) | 교육급여 기준(50%) |
---|---|---|---|---|---|
1인 가구 | 2,391,387원 | 765,444원 | 956,755원 | 1,147,866원 | 1,195,694원 |
2인 가구 | 3,932,659원 | 1,258,451원 | 1,573,064원 | 1,887,676원 | 1,966,330원 |
3인 가구 | 5,025,353원 | 1,608,113원 | 2,010,141원 | 2,412,169원 | 2,512,677원 |
4인 가구 | 6,097,773원 | 1,951,287원 | 2,439,109원 | 2,926,931원 | 3,048,887원 |
📱 생계급여
생계급여는 가장 기본적인 생활비를 지원하는 제도로, 기준 중위소득 32% 이하 가구에 지급돼요.
✅ 지원 대상:
-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32% 이하인 가구
- 부양의무자 기준 충족 가구(부양의무자가 없거나, 있어도 부양능력이 없거나 부양을 받을 수 없는 경우)
✅ 지원 금액:
- 생계급여 = 생계급여 선정기준 - 가구의 소득인정액
- 2025년 기준, 4인 가구는 최대 월 195만 1,287원 지원
💡 TIP: 2025년부터는 청년층(19~34세)의 취업 시 근로소득 35% 공제 혜택이 확대되어 취업 후에도 한동안 생계급여를 받을 수 있어요!.
🏥 의료급여
의료급여는 저소득층의 의료비 부담을 덜어주는 제도로, 기준 중위소득 40% 이하 가구에 제공돼요.
✅ 지원 종류:
- 1종 의료급여: 생계급여 수급자, 시설 수급자 등
- 2종 의료급여: 의료급여 수급자 중 1종 대상이 아닌 가구
✅ 본인부담금:
- 1종: 입원 시 본인부담금 면제, 외래 진료 시 1,000원~2,000원 정액제
- 2종: 입원 시 본인부담금 10%, 외래 진료 시 1,000원~3,000원 정액제
- 약국 이용: 처방전 당 500원
⚠️ 메모: 2025년부터는 건강생활유지비가 100% 인상되어 월 6천원에서 1만 2천원으로 증가했어요. 의료기관 이용 시 이 금액 내에서 본인부담금을 차감하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답니다.
🏠 주거급여
주거급여는 저소득층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제도로, 기준 중위소득 48% 이하 가구에 지원돼요.
✅ 지원 내용:
- 임차가구: 지역별/가구원수별 기준임대료를 상한으로 실제 임차료 지원
- 자가가구: 주택 노후도에 따라 수선비용 지원
✅ 2025년 주요 변경사항:
- 주택수선비용 5년 만에 29% 인상
- 서울 4인 가구 기준 월 최대 42만원까지 임차료 지원
주거급여에 대한 상세 정보는 아래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 교육급여
교육급여는 저소득층 가정의 자녀들에게 교육비를 지원하는 제도로,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가구에 제공돼요.
✅ 지원 내용 (2025년 기준):
- 초등학생: 월 12만원
- 중학생: 월 15만원
- 고등학생: 월 18만원
✅ 지원 항목:
- 교과서대, 학용품비, 부교재비, 교육활동지원비 등



🚨 긴급복지지원제도로 위기 상황 대처하기
갑작스러운 위기 상황으로 생계유지가 곤란한 경우, 긴급복지지원제도를 통해 신속하게 도움을 받을 수 있어요.
위기 상황 기준
✅ 위기 상황으로 인정되는 경우:
- 주소득자의 사망, 가출, 행방불명, 구금시설 수용 등으로 소득 상실
- 중한 질병 또는 부상을 당한 경우
- 가정폭력, 방임, 유기, 학대 등을 당한 경우
- 화재 또는 자연재해로 주거지에서 생활이 곤란한 경우
- 주소득자의 휴업, 폐업, 실직으로 소득 상실
소득·재산 기준
✅ 지원 가능 기준 (2025년 기준):
- 소득기준: 기준 중위소득 75% 이하
- 1인 가구: 179만 3,540원
- 4인 가구: 457만 3,330원
- 재산기준: 2억 5천만원 이하
- 금융재산: 가구원수별 생활준비금 + 650만원 이하
지원 내용 및 기간
지원 종류 | 지원 금액 (4인 가구 기준) | 지원 기간 |
---|---|---|
생계지원 | 183만원 | 최대 6개월 |
의료지원 | 300만원 이내 | 최대 2회 |
주거지원 | 66만 2,500원 이내 | 최대 12개월 |
교육지원 | 초등 127,900원, 중등 180,000원, 고등 214,000원 | 최대 2회 |
💡 TIP: 2025년부터는 긴급 생활비 지원 금액이 30% 인상되었고, 의료비와 주거비 지원 기준이 완화되어 더 많은 가구가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어요!



👨🎓 청년 대상 생활비 지원 정책
청년들의 자립과 생활 안정을 위한 다양한 지원 정책이 마련되어 있어요.
청년 기본 생활비 지원
✅ 지원 대상:
- 만 19세~34세 이하 청년
- 중위소득 120% 이하 (4인 가구 기준 731만원)
✅ 지원 내용:
- 월 최대 50만원 생활비 지원
- 최대 지원 기간: 12개월
✅ 신청 방법:
- '청년 희망 온(ON)' 포털 또는 주민센터 방문 신청
대학생 생활 지원
✅ 근로장학금:
- 대상 확대: 14만 명 → 20만 명
- 시급: 12,000원 (2025년 기준)
- 월 최대 140만원까지 수령 가능
✅ 국가장학금:
- 지원 대상: 9구간 이하 대학생
- 등록금 범위 내 전액 지원 (구간별 차등)
✅ 저소득 대학생 주거안정장학금:
- 자취/하숙하는 저소득층 대학생 대상
- 연 최대 240만원 지원
👵 노인 대상 생활비 지원 정책
노년기의 안정적인 생활을 위한 다양한 지원 제도가 있어요.
기초연금
✅ 지원 대상:
- 만 65세 이상 대한민국 국민
- 소득 및 재산 하위 70% 이하
✅ 지급 금액 (2025년 기준):
- 단독가구: 최대 33만 5,000원
- 부부가구: 최대 59만원
✅ 소득 및 재산 기준:
- 단독가구: 월 소득인정액 210만원 이하
- 부부가구: 월 소득인정액 335만원 이하
노인 일자리 지원
✅ 유형별 지원 내용:
- 공공형 일자리: 월 30시간 근무, 월 최대 32만원
- 사회서비스형 일자리: 월 60시간 근무, 월 최대 59만원
- 민간형 일자리: 기업 취업 연계, 최대 300만원 취업 성공수당
♿ 기타 생활비 지원 제도
다양한 대상별 맞춤형 지원 제도도 마련되어 있어요.
장애인 지원
✅ 장애인 연금:
- 대상: 만 18세 이상 중증 장애인
- 지원금액: 기초급여 최대 38만원 + 부가급여 최대 8만원
✅ 장애수당:
- 대상: 만 18세 이상 경증 장애인
- 지원금액: 월 4만원~6만원
✅ 장애아동수당:
- 대상: 만 18세 미만 장애아동
- 지원금액: 월 최대 20만원
주거 지원 정책
✅ 청년 및 신혼부부 전세 대출 지원:
- 수도권 최대 2억원까지 저금리 대출
- 금리: 연 1.8%~2.4% (2025년 기준)
✅ 월세 지원금:
- 대상: 서울, 경기, 인천 지역 청년층
- 지원금액: 월 최대 30만원
- 지원기간: 최대 12개월
✅ 지방 정착 지원금:
- 대상: 수도권에서 지방으로 이주하는 청년과 신혼부부
- 지원금액: 1인당 최대 1,000만원
- 지급방식: 분할 지급 (초기 정착금 + 정주 장려금)
📆 복지제도 활용 방법 및 신청 절차
복지제도를 활용하기 위한 절차를 알아볼게요.
1단계: 자격 확인하기
✅ 나에게 맞는 복지제도 찾기:
- 복지로 홈페이지 '복지서비스 모의계산' 이용
- 보건복지 상담센터(☎129) 전화 상담
- 주민센터 방문 상담
2단계: 신청 준비하기
✅ 필요 서류 준비:
- 신분증, 주민등록등본
- 소득 증빙 서류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 소득금액증명원 등)
- 재산 관련 서류 (부동산 등기부등본, 자동차 등록증 등)
- 가족관계증명서
- 통장 사본
3단계: 신청하기
✅ 신청 방법:
- 온라인 신청: 복지로 홈페이지 또는 정부24
- 방문 신청: 주민센터 방문
- 우편 신청: 관할 주민센터로 서류 발송
4단계: 심사 및 수급
✅ 심사 과정:
- 소득·재산 조사 (약 30일 소요)
- 부양의무자 조사 (해당되는 경우)
- 최종 결정 통지
✅ 수급 관리:
- 정기적인 자격 재조사 (연 1~2회)
- 소득·재산 변동 시 신고 의무
💪 복지제도 활용 시 주의사항
복지제도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알아두어야 할 사항들이에요.
✅ 소득신고 성실하게 하기:
- 소득 미신고 시 부정수급으로 간주될 수 있음
- 근로·사업소득 변동 시 반드시 신고
✅ 재산 변동 신고하기:
- 부동산 취득·처분, 자동차 구입·매각 등 신고
- 금융재산 변동 사항 신고
✅ 중복수급 확인하기:
- 일부 복지제도는 중복수급이 제한됨
- 생계급여와 실업급여 등 중복 수급 불가
✅ 부양의무자 기준 이해하기:
- 1촌 직계혈족(부모, 자녀)이 부양의무자에 해당
- 부양의무자의 소득·재산도 심사 대상이 될 수 있음
Q&A 섹션 (FAQ)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와 긴급복지지원제도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는 지속적인 생활 지원을, 긴급복지지원제도는 갑작스러운 위기 상황에 대한 일시적 지원을 제공합니다. 긴급복지는 심사 절차가 간소화되어 신속하게 지원받을 수 있지만 지원 기간이 제한적이에요.
기초생활보장제도 신청 시 부양의무자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현재 생계급여와 의료급여는 일부 부양의무자 기준이 적용됩니다. 다만 2025년부터는 노인, 한부모 가정 등에 대해 부양의무자 기준이 폐지되었고, 주거급여와 교육급여는 이미 부양의무자 기준이 완전히 폐지되었어요.
일을 하면서 생계급여를 받을 수 있나요?
네, 가능합니다. 다만 근로소득이 발생하면 소득인정액에 반영되어 지원 금액이 줄어들 수 있어요. 하지만 2025년부터는 청년층의 경우 근로소득의 35%를 공제해주는 혜택이 있어 취업 후에도 일정 기간 급여를 받을 수 있답니다.
긴급복지지원은 언제든지 신청 가능한가요?
네, 위기 상황이 발생했을 때 언제든지 신청 가능합니다. 주민센터나 보건복지 상담센터(☎129)로 연락하면 24시간 상담과 신청이 가능해요. 야간이나 주말에도 지원 요청이 가능하며, 최대한 신속하게 지원받을 수 있도록 제도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여러 가지 복지제도를 동시에 신청할 수 있나요?
네, 자격 요건을 충족한다면 여러 복지제도를 동시에 신청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부 제도는 중복 수급이 제한될 수 있으니, 신청 전에 상담을 통해 확인하는 것이 좋아요. 주민센터나 복지로 사이트에서 '복지 맞춤형 서비스'를 통해 자신에게 맞는 제도를 한 번에 확인하고 신청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복지제도를 통해 한 달 생활비를 마련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어요.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에 처했을 때, 정부의 지원제도를 잘 활용하면 기본적인 생활을 유지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어요. 특히 2025년에는 많은 복지제도의 지원 금액이 인상되고 대상자 범위도 확대되었으니, 본인에게 해당되는 제도가 있는지 꼼꼼히 살펴보세요. 주민센터나 복지로 사이트를 통해 편리하게 신청할 수 있으며, 정기적으로 변경되는 제도와 기준을 확인하는 것도 중요해요.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충망 청소 방법 세척법-미세먼지, 꽃가루까지 한 번에 제거 (0) | 2025.03.27 |
---|---|
2025년 고용장려금, 지원받는 조건은? 대상자별 완벽 정리 (0) | 2025.03.26 |
2025년 벚꽃 축제 일정과 서울의 숨겨진 벚꽃 명소 추천 (0) | 2025.03.25 |
가계부 앱 추천 및 절약 습관 만드는 활용법 (0) | 2025.03.24 |
주거비 부담 해결하는 정부지원 정책 총정리 (0) | 202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