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D 교체 후 성능이 더 나빠졌다면? 꼭 확인할 설정 3가지
SSD로 업그레이드했는데 오히려 컴퓨터가 더 느려졌다면 당황스러울 수 있어요. 고성능 SSD를 장착했음에도 기대했던 속도 향상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런 현상은 대부분 몇 가지 설정이 제대로 되어있지 않아서 발생하는데요, 오늘은 SSD 성능을 제대로 끌어올리기 위해 꼭 확인해야 할 설정 3가지를 알아보겠습니다!

🔍 SSD 성능 저하의 일반적인 원인
SSD를 설치했는데 성능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하드웨어적 문제보다는 소프트웨어나 설정의 문제인 경우가 많은데요, 주요 원인을 표로 정리해봤습니다.
원인 | 증상 | 해결 방향 |
---|---|---|
AHCI 모드 미설정 | 순차 읽기/쓰기 속도 저하 | BIOS에서 SATA 모드 변경 |
TRIM 기능 비활성화 | 시간이 지날수록 성능 저하 | 운영체제에서 TRIM 활성화 |
파티션 정렬 불일치 | 랜덤 접근 성능 저하 | 파티션 재정렬 또는 재설치 |
드라이버 미최적화 | 전반적인 속도 저하 | 최신 드라이버 설치 |
부적절한 전원 관리 | 불규칙한 성능 저하 | 전원 설정 최적화 |
1️⃣ AHCI 모드 설정 확인하기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설정은 BIOS에서의 SATA 모드입니다. 많은 컴퓨터가 기본적으로 IDE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데, 이는 구형 HDD를 위한 설정으로 SSD의 성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게 만듭니다.
AHCI 모드란?
AHCI(Advanced Host Controller Interface)는 SSD의 고급 기능을 활용할 수 있게 해주는 인터페이스 모드입니다. 핫플러깅, NCQ(Native Command Queuing) 등의 기능을 지원해 SSD의 성능을 최대한 끌어올려 줍니다.
AHCI 모드 설정 방법
- 컴퓨터를 재부팅하고 BIOS 설정 화면으로 진입합니다(일반적으로 F2, F10, DEL 키 등 사용).
- 'Storage Configuration', 'SATA Configuration' 또는 유사한 메뉴를 찾습니다.
- SATA Mode 또는 SATA Operation을 'IDE' 또는 'Legacy'에서 'AHCI'로 변경합니다.
- 설정을 저장하고 재부팅합니다.
💡 TIP: Windows가 이미 IDE 모드로 설치된 경우, 갑자기 AHCI로 변경하면 부팅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레지스트리 수정이 필요한데, 먼저 Windows 복구 옵션을 준비해두는 것이 안전합니다!
2️⃣ TRIM 기능 활성화 확인하기
TRIM은 SSD의 성능을 장기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기능입니다. 이 기능이 비활성화되어 있다면 시간이 지날수록 SSD 성능이 크게 저하될 수 있습니다.
TRIM이란?
TRIM은 운영체제가 SSD에게 "이 데이터 블록은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다"고 알려주는 명령어입니다. 이를 통해 SSD는 내부적으로 가비지 컬렉션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쓰기 성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TRIM 활성화 확인 및 설정 방법
- 관리자 권한으로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합니다.
- 다음 명령어를 입력해 TRIM 상태를 확인합니다:
fsutil behavior query DisableDeleteNotify
- 결과가 '0'이면 TRIM이 활성화된 상태, '1'이면 비활성화된 상태입니다.
- TRIM이 비활성화되어 있다면 다음 명령어로 활성화합니다:
fsutil behavior set DisableDeleteNotify 0
수동 TRIM 실행하기
Windows에서는 기본적으로 TRIM이 주기적으로 실행되지만, 수동으로도 실행할 수 있습니다:
- 관리자 권한으로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합니다.
- 다음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defrag /L 또는 defrag /L /C
3️⃣ 파티션 정렬 확인하기
SSD는 특성상 파티션이 올바르게 정렬되어 있어야 최적의 성능을 발휘합니다. 특히 HDD에서 클론한 경우 파티션 정렬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을 수 있습니다.
파티션 정렬의 중요성
SSD는 내부적으로 페이지와 블록 단위로 데이터를 관리합니다. 파티션이 이 구조에 맞게 정렬되어 있지 않으면, 하나의 데이터 쓰기 작업이 두 개의 블록 쓰기로 나뉘어 처리되어 성능이 저하됩니다.
파티션 정렬 확인 방법
최신 Windows(8 이상)에서는 기본적으로 SSD에 맞게 파티션을 정렬하지만, 다음과 같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msinfo32' 명령으로 시스템 정보를 실행합니다.
- '구성요소' > '저장소' > '디스크'에서 '파티션 시작 오프셋'을 확인합니다.
- 이 값이 4096(4KB)의 배수인지 확인합니다.
파티션 재정렬 방법
파티션이 잘못 정렬된 경우, 가장 확실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중요 데이터를 백업합니다.
- Windows 설치 미디어로 부팅합니다.
- 파티션을 삭제하고 다시 생성한 후 Windows를 재설치합니다.
- 최신 버전의 파티션 관리 도구를 사용하면 데이터 손실 없이도 정렬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 TIP: 대부분의 경우 Windows 8 이상에서 SSD를 새로 포맷했다면 파티션 정렬은 자동으로 올바르게 설정됩니다. 이 설정은 주로 구형 시스템이나 HDD에서 클론한 경우에 문제가 될 수 있어요!



🔧 추가로 확인할 SSD 최적화 설정
위의 3가지 핵심 설정 외에도 SSD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한 추가 설정들이 있습니다.
최신 SSD 펌웨어 및 드라이버 설치
SSD 제조사는 지속적으로 성능 개선과 버그 수정을 위한 펌웨어 업데이트를 제공합니다. 제조사 홈페이지에서 최신 펌웨어와 관리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불필요한 서비스 비활성화
다음 서비스들은 SSD에서 불필요하거나 오히려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 SuperFetch/SysMain (최신 SSD에서는 큰 이점 없음)
- 디스크 조각 모음 (SSD에서는 불필요하고 수명 단축 가능)
- 인덱싱 서비스 (필요에 따라 선택적 비활성화)
전원 설정 최적화
Windows 전원 계획에서 고성능 모드를 선택하거나, 사용자 지정 계획에서 하드 디스크 관련 설정을 최적화하면 SSD 성능이 더 일관되게 유지될 수 있습니다.
Q&A 섹션 (FAQ)
SSD를 설치했는데 부팅이 오히려 느려졌습니다. 왜 그런가요?
BIOS 설정에서 부팅 우선순위가 제대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또한 불필요한 시작 프로그램이 너무 많지 않은지, 바이러스 백신이 모든 파일을 스캔하고 있지는 않은지 확인해보세요.
SSD의 용량을 얼마나 비워두어야 최적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나요?
SSD는 용량의 약 10-20%를 비워두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SSD의 오버프로비저닝 공간을 확보하여 웨어 레벨링과 가비지 컬렉션이 효율적으로 작동하게 합니다.
NVMe SSD를 설치했는데 속도가 스펙보다 훨씬 느립니다. 문제가 뭘까요?
메인보드가 NVMe를 완전히 지원하는지, PCI-E 슬롯의 속도 설정(x1, x2, x4)이 올바른지 확인하세요. 또한 BIOS가 최신 버전인지, NVMe 부팅 지원이 활성화되어 있는지도 확인해야 합니다.
AHCI 모드로 변경한 후 Windows가 부팅되지 않습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전 모드로 부팅한 다음 레지스트리 편집기에서 적절한 설정을 변경해야 합니다. 복잡한 과정이므로 백업 후 진행하거나, Windows를 AHCI 모드에서 새로 설치하는 것이 안전할 수 있습니다.
클론 소프트웨어로 HDD에서 SSD로 이전했는데 성능이 향상되지 않았습니다. 이유가 뭘까요?
클론 과정에서 파티션 정렬이 제대로 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가능하다면 SSD에 Windows를 새로 설치하는 것이 최상의 성능을 얻는 방법입니다.



SSD를 설치한 후 기대했던 성능 향상이 없다면, 위에서 설명한 설정들을 하나씩 확인해보세요. 대부분의 경우 AHCI 모드 설정, TRIM 활성화, 파티션 정렬만 제대로 해도 성능이 크게 개선됩니다. 특히 오래된 시스템이나 HDD에서 마이그레이션한 경우라면 이러한 설정들이 더욱 중요합니다. 조금만 시간을 투자해서 설정을 최적화하면 SSD 본연의 빠른 속도를 경험할 수 있을 것입니다!
카메라 설정만 바꿨을 뿐인데 프로급 사진 찍는 기술 (0) | 2025.04.02 |
---|---|
디스크 통증 완화 운동, 척추 건강 지키는 10분 루틴 (0) | 2025.04.02 |
분양가상한제 적용 아파트, 프리미엄 계산하는 정확한 방법 (0) | 2025.04.01 |
식단 관리 포기하게 만드는 실수 3가지와 극복법 (0) | 2025.04.01 |
퇴직연금 수익률 2배로 높이는 포트폴리오 재구성법 (0) | 2025.03.31 |
댓글